728x90
Accumulator(누산기)
- 덧셈을 하여 기억하는 회로
- 8-bit Adder 와 8-bit Lacth로 구성
- 플립플롭에 clear입력을 추가
- clear 값이 1이면 Output은 0이됨
- add는 CLK으로 add가 1일때 더해지고 다시 adder(가산기)의 input으로 들어간다
또한 폰노이만 구조에 CPU의 산술연산장치 ALU에서 Accumulator가 존재한다.
누산기와 가산기의 차이점을 잠깐 알고 가겠습니다
가산기(adder)
|
입력받은 값2개 (주로 가산기와 레지스터)을 더하는 회로
반가산기(half adder)와 전가산기(full adder) 존재. |
누산기(accumulator)
|
연산 장치를 구성하는 중심이 되는 레지스터. 사칙 연산, 논리 연산 등의 중간 결과를 기억 보통 기억되어 있는 값에 새로운 값이 입력되면, 앞에 들어 있던 값에 더하여 기억 |
레지스터 : CPU가 요청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
728x90
'2.1 CS > 컴퓨터구조 & 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컴퓨터구조] 레지스터 (0) | 2024.08.21 |
---|---|
[CS/컴퓨터구조] 컴퓨터구조 기본구조 (0) | 2024.08.19 |
[cs/컴퓨터구조&논리] Multiplexer, Demultiplexer, Encoder, Decoder (0) | 2024.08.19 |
[CS/논리] 플립플롭 (0) | 2024.08.19 |
[CS/논리] Logic gate(논리게이트) (0) | 2024.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