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it latch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1bit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로
Input(DI:Data input)에 데이터가 들어올때 Output(DO:data output)에 저장되기 위해서는 CLK(이하 Write) 1이 되어야한다
8bit latch
한번에 8개의 1bit latch의 Wirte를 이어주고 하나의 Wirte에 따라 각 input의 값이 각 Output에 저장하거나 유지한다.
자 이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까지는 확실히 알았는데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어있는지 알아야한다
참고로 그위치를 우리는 Address라고 부른다
Multiplexer(Mux,Selector 멀티플렉서)
Mux는 특정 bit값을 출력하기 위해서 선택해주는 조합논리회로로써 select line을 이용하여 2^n개의 Input에서 1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예를 들면 8(2^3)개의 input이 있을경우엔 select line 은 3개가 있어야한다.
select line이 000 일경우 0번째 input을 출력하고
select line이 010 일경우 2번째 input을 출력하면 되는 식이다.
또한 이를 8 to 1 Mux(8 to 1 selector)라고 한다
Demultiplexer(Demux 디멀티플렉서)
Demux은 멀티플렉서와 반대로 1개의 Input에서 n개의 Output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8(2^3)개의 output이 있을경우엔 select line 은 3개가 있어야한다.
select line이 000 일경우 0번째 output에 출력하고
select line이 010 일경우 2번쨰 output에 출력하면 되는 식이다.
또한 이를 1 to 8 Demux이라고 한다.
Encoder(인코더)
2^n비트의 정보를 입력받아(Input) n개의 Output으로 암호화하는 조합논리회로이다
Decoder(디코더)
n비트의 정보를 입력으로(Input) 받아 2^n개의 Output으로 해독하는 조합논리회로이다.
온전한 8 bit latch (RAM)
3 to 8 decoder(3X8 decoder라고도함) 와 8 to 1 MUX를 이용하면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데.
decoder에 들어가는 3개의 input을 Address라고 하고 Mux의 select line에 연결하면
8개의 비트를 중 한개의 비트를 선택하거나 쓰고 읽을 수가 있다.
'2.1 CS > 컴퓨터구조 & 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컴퓨터구조] 컴퓨터구조 기본구조 (0) | 2024.08.19 |
---|---|
[cs/컴퓨터구조&논리] Accumulator (0) | 2024.08.19 |
[CS/논리] 플립플롭 (0) | 2024.08.19 |
[CS/논리] Logic gate(논리게이트) (0) | 2024.08.13 |
[컴퓨터구조] 폰노이만 구조 (0) | 2024.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