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엔드2

[Eulji_LikeLion_2024_BackEnd] 5차 Q&A 5차 Q&A  Q 5-1 스프링 빈(Bean)   Q 5-2 DI    Q 5-3  RestApi    Q 5-4  CRUD Q 5-1 스프링 빈(Bean)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고 애플리케이션의 핵심을 이루는 객체들을 스프링 빈이라고 부릅니다.스프링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인스턴스화되어 조립,관리되는 객체즉, 스프링 빈은 스프링의 객체로 이해하면 편합니다 스프링은 빈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하기 위해 XML파일 설정,애너테이션 추가 등 여러방법을 제공합니다.예를들어 DoHi라는 클래스에 @Component 애너테이션을 붙이면 DoHi 클래스가 빈으로 등록됩니다.그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는 Dohi 클래스를 빈으로써 클래스의 첫글자를 소문자로 바꿔서 관리하게 됩니다Class : DoHi  → .. 2024. 5. 1.
[Eulji_LikeLion_2024_BackEnd] 3차 Q&A (의존성,api,git) Q3-1 devtools(의존성)을 추가하고싶어요 1) Spring-boot-devtools 2) 의존성추가 Q3-2 API는 뭔가요? 그리고 api실습때 나온 { }는 뭔가요? 1) API 2) JSON Q3-3 GiT을 세션에 진행하셨는데 다시 알려주세요:) 1) 환경설청 2) 첫 업로드 3) 협업에 필요한 코드 Q 3-1. 의존성을 추가하고 싶어요 1) Spring-boot-devtools 의존성을 추가하는 법을 질문 하셨기때문에 devtools는 간단하게 넘어가겠습니다 참고용 링크:공식문서 devtools는 개발하는 경우에 매번 재시작을 하기 힘들고 귀찮다. 다양한 이유로 개발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하는데 대표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은 아래와같습니다 Property Defaults Automatic R.. 2024. 4. 4.
728x90